Demand Pull 모델
Demand Pull 모델이란?
- 수요견인형 글로벌 기술사업화는 기술 수요자들이 기술 공급자들에게 필요한 기술을 요청하는 형태로, 기술에 대한 수요가 명확하고 사업화에 대한 의지가 높기 때문에 성공적인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 KAIST GCC는 해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수집된 기술 수요 정보를 고도화하여 국내 최고의 파트너와의 매칭 및 사업화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수요 발굴
- 현지 시장 조사, 현지 방문 미팅, 네트워킹 행사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한 수요 확보
- 지역거점, 파트너 기관, Country Agent 등 활용하여 신뢰성 있는 수요 정보 발굴
- 수요 고도화 및 매칭
- 발굴된 수요 분을 통해 유효한 수요 정보에 대응되는 기술 및 제품 발굴
- 수요와 대응기술 매칭 및 협력 지원
- 비즈니스 컨설팅
- 매칭된 기술/제품의 사업화 지원
- 현지 비즈니스 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전문 컨설팅 제공
주요 사례
-
- 칠레 Graphene 기술이전
- 칠레: COFRO, CODELCO
- 한국: KAIST GCC, KAIST GRC/CML Lab
-
- 글로벌 제약회사 Open Innovation 협력
- 독일: Roche, Roche Diabetes, Rox Health
- 한국: KAIST 개발 기술, 국내 산업체 등
-
- 경제혁신 파트너십 프로그램(EIPP) 정책·기술 자문
- 케냐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기본 계획 수립
- 케냐: 케냐 정부, 콘자개발청(케냐 KAIST)
- 한국: KAIST, KOTRA, 기획재정부 등
-
- 코스타리카 NTIS 프로젝트
- 코스타리카: MICITT, ICE
- 한국: KAIST GCC, KISTI, 소프트마이테크
-
- 한·인도 국제공동연구(스마트 팜 관련 기술)
- 인도: TKN Advisors, SAL Agrotech
- 한국: KAIST GCC, Apack, Cesel, Farm8
-
- UN 조달 시장 개척
- UN PKO 스마트 캠프 구축: 2021 PKO 장관회의 대표 의제 확정
- UN PKO, KAIST GCC, 국토연구원, ETRI, 국방부 등
Tech Push 모델
Tech Push 모델이란?
- 기술주도형의 글로벌 기술사업화는 기술 흡수 역량이 뛰어난 수요자와 혁신적인 기술을 가진 공급자가 매칭이 되는 시장에서 진행됩니다.
- KAIST GCC는 국내 유망 기업들의 효과적인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글로벌 스케일업 프로그램과 산업별 특성을 고려한 산업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주도형의 글로벌 기술사업화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기업 발굴 및 선발
기업 진단 및 글로벌 진출 전략 수립
글로벌 역량 강화 교육
글로벌 기술사업화 컨설팅
성공적 글로벌 시장 진출
기업 지원 프로그램
(기업 특성과 글로벌 역량에 따른 다양한 글로벌 진출 지원 프로그램 제공)
사업명 | 카이스트 창업사업화 | 신산업 스타트업 육성 | 글로벌업 | D-유니콘 | 소부장 GVC |
---|---|---|---|---|---|
사업 목적 및 지원 대상 |
카이스트 학생 및 교원 대상 글로벌 창업 지원 | 로봇분야 딥테크 스타트업 기술사업화 | 대전시 소재 유망 중소기업 글로벌 진출 | 대전형 유니콘 유망 기업 스케일업 지원 | 글로벌 소부장 기업의 공급망 참여 확대 |
지원 내용 및 추진 절차 |
|
|
|
|
|
지원 기업 모집 및 선정 |
수시 지원 및 선정 | 매년 기업 선발 공고를 통해 모집 | 매년 기업 선발 공고를 통해 모집 | D-유니콘 선정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 수요 분석 후 지원 | 기업 설문조사 통해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