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소개
시장성
7개 활용 분야 세계시장규모 합계는 2020년 3조 4,909억 달러에서 2025년 5조 5,421억 달러, 국내시장규모 합계는 2020년 208조 원에서 2025년 393조 원으로 성장할 전망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CAGR | |
---|---|---|---|---|---|---|---|---|---|---|
합계 | 세계 | 2,990,606 | 2,613,147 | 3,490,922 | 3,784,042 | 4,049,068 | 4,530,953 | 5,008,157 | 5,542,112 | 9.2% |
국내 | 159,389 | 178,131 | 208,494 | 239,438 | 267,756 | 303,798 | 345,296 | 393,062 | 13.8% | |
디지털헬스 | 세계 | 86,400 | 111,900 | 145,100 | 188,100 | 243,700 | 315,900 | 409,400 | 504,400 | 29.6% |
국내 | 5,818 | 6,400 | 7,040 | 7,744 | 8,518 | 9,370 | 10,307 | 11,338 | 10% | |
디지털시티 | 세계 | 528,160 | 624,813 | 739,154 | 874,419 | 1,034,438 | 1,223,740 | 1,447,870 | 1,712,830 | 18.3% |
국내 | 95,000 | 111,000 | 129,000 | 151,000 | 176,066 | 205,293 | 239,372 | 279,107 | 16.6% | |
디지털 |
세계 | 6,846 | 7,747 | 8,768 | 9,923 | 11,230 | 12,713 | 14,387 | 16,282 | 13.17% |
국내 | 108 | 133 | 165 | 204 | 252 | 311 | 384 | 474 | 23.44% | |
디지털제조 | 세계 | 144,000 | 153,700 | 168,000 | 184,000 | 202,000 | 221,000 | 244,800 | 268,000 | 9.76% |
국내 | 9,922 | 11,270 | 12,495 | 14,087 | 15,680 | 17,517 | 19,600 | 27,927 | 12.1% | |
디지털에너지 | 세계 | 52,000 | 54,000 | 54,000 | 53,000 | 54,000 | 56,000 | 60,000 | 64,000 | 3.05% |
국내 | 135 | 153 | 157.5 | 162 | 175.5 | 189 | 216 | 238.5 | 8.55% | |
디지털국방 | 세계 | 1,855,000 | 1,922,000 | 1,960,000 | 1,999,000 | 1,960,000 | 2,080,000 | 2,121,000 | 2,164,000 | 1.99% |
국내 | 40,011 | 40,253 | 50,153 | 56,162 | 56,352 | 59,733 | 63,317 | 67,116 | 6% | |
디지털 |
세계 | 318,200 | 363,800 | 415,900 | 475,600 | 543,700 | 621,600 | 710,700 | 812,600 | 14.3% |
국내 | 8,395 | 8,922 | 9,483 | 10,079 | 10,712 | 11,385 | 12,100 | 12,861 | 6.28% |
수행 사업
- ICT 융복합 및 재난안전: 대전 지역혁신클러스터 1단계(2018~2020), 1.5단계 사업 참여(2021~2022)
-
에너지 융복합 신산업: 학연 선도모델 개발 및 혁신 생태계 구축 (2017-2019)
학·연 연계 기업간의 가치사슬 형성하여 지속가능성이 높은 선순환 구조 확립
- 학연 연계 수요기반 기술 도출 및 포트폴리오 개발
- R&D 성과의 상용화 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연계 및 글로벌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시장 수요 발굴
- 글로벌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운영
- 기존 에너지 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신소재, Smart Agriculture, Smart City 등을
접목한 에너지융합산업이 미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 -
에너지 수요 관리 체제로 전환
전력자원 중심 (중앙집중발전)
수요자원 중심으로 전환 (분산발전/프로슈머 간 거래)
-
신소재 개발
에너지 하베스터 (제한적 용량)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저장 능력 향상)
-
Smart Agriculture로 확대
전통적 농산물 수확 (비효율)
에너지 ICT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경작 (고효율)
-
Smart City로 확대
필요에 의한 무분별한
Network 구축 (비효율, 고비용)에너지 ICT 기술로 도시 건설 (효율적인 Connection 구성)
-
학연연계 생태계 지속가능성 측면 - 스마트 빌리지 사업 추진
- 부가가치 생산성의 극대화와 지속가능한 농촌의 선순환 체제 마련을 위한 “개발도상국 특화 스마트 빌리지 모델 기획” 및 “국내 기술사업화 영역 발굴”
- 스마트함 융복합연계기술의 적용분야를 스마트 빌리지로 확장하여 학연연계 과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학연연계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창출
-
학연연계 생태계 지속가능성 측면 - 스마트 캠프 사업 추진
- 국내 우수 연구기관 보유 기술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스마트 캠프 관리 시스템을 개발/공급, UN 평화유지군에 개선된 복무환경 및 난민에 안전/관리, 질병 예방환경 제공
- 스마트 시티 융복합 연계 기술의 적용분야를 스마트 빌리지, 스마트 캠프로 확장하여 학연연계 과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학연연계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창출
-
스마트농업
-
몽골 스마트팜 협력 과제
(2015~2016)- Korea: KAIST GCC, ETRI, Shinhan A Tec, Jeli Seed
- Mongolia: MEGO, Microcity, Ikh Tiin Group
-
한·인도 식물공장 국제공동연구
(2021~2023)- Korea: KAIST GCC, APACK Inc., Farm8, and Let’s Farm
- India: Sal Biosciences Pvt. Ltd.
-
코스타리카 스마트 그린하우스 과제
(2022~2023)- Financial Support: CABEI; Owner: INTA(National Institute for Innovation and Transfer of Agri-Technology)
- Project Execution: KAIST GCC consortium with Shinhan A Tec, Controlsoft & University of Costa Rica
-
몽골 스마트팜 협력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