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소개
ICT 융합 분야는 지능정보 기술 등 다양한 ICT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사회 문제에 대응하고 全 산업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통해 사람 중심(Human Driven)의 혁신적인 新 융합기술·서비스 실현을 목표로 한다.
기존 산업구조 기반에서 마련된 현재의 기술과의 융합에서 벗어나, ICT 기술을 뒷받침하는 이론에서 파생한 새로운 융합 신기술 발굴한다.
미래의 ICT 융합은 ‘인간을 위한’ 도구로서, 인간의 편리하고 안전한 삶을 지원하고, 사회 전반의 고민과 과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하는 사람 중심(Human-Driven)의 핵심기술로 정의한다.


시장성
7개 활용 분야 세계시장규모 합계는 2020년 3조 4,909억 달러에서 2025년 5조 5,421억 달러, 국내시장규모 합계는 2020년 208조 원에서 2025년 393조 원으로 성장할 전망
구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CAGR | |
---|---|---|---|---|---|---|---|---|---|---|
합계 | 세계 | 2,990,606 | 2,613,147 | 3,490,922 | 3,784,042 | 4,049,068 | 4,530,953 | 5,008,157 | 5,542,112 | 9.2% |
국내 | 159,389 | 178,131 | 208,494 | 239,438 | 267,756 | 303,798 | 345,296 | 393,062 | 13.8% | |
디지털헬스 | 세계 | 86,400 | 111,900 | 145,100 | 188,100 | 243,700 | 315,900 | 409,400 | 504,400 | 29.6% |
국내 | 5,818 | 6,400 | 7,040 | 7,744 | 8,518 | 9,370 | 10,307 | 11,338 | 10% | |
디지털시티 | 세계 | 528,160 | 624,813 | 739,154 | 874,419 | 1,034,438 | 1,223,740 | 1,447,870 | 1,712,830 | 18.3% |
국내 | 95,000 | 111,000 | 129,000 | 151,000 | 176,066 | 205,293 | 239,372 | 279,107 | 16.6% | |
디지털 |
세계 | 6,846 | 7,747 | 8,768 | 9,923 | 11,230 | 12,713 | 14,387 | 16,282 | 13.17% |
국내 | 108 | 133 | 165 | 204 | 252 | 311 | 384 | 474 | 23.44% | |
디지털제조 | 세계 | 144,000 | 153,700 | 168,000 | 184,000 | 202,000 | 221,000 | 244,800 | 268,000 | 9.76% |
국내 | 9,922 | 11,270 | 12,495 | 14,087 | 15,680 | 17,517 | 19,600 | 27,927 | 12.1% | |
디지털에너지 | 세계 | 52,000 | 54,000 | 54,000 | 53,000 | 54,000 | 56,000 | 60,000 | 64,000 | 3.05% |
국내 | 135 | 153 | 157.5 | 162 | 175.5 | 189 | 216 | 238.5 | 8.55% | |
디지털국방 | 세계 | 1,855,000 | 1,922,000 | 1,960,000 | 1,999,000 | 1,960,000 | 2,080,000 | 2,121,000 | 2,164,000 | 1.99% |
국내 | 40,011 | 40,253 | 50,153 | 56,162 | 56,352 | 59,733 | 63,317 | 67,116 | 6% | |
디지털 |
세계 | 318,200 | 363,800 | 415,900 | 475,600 | 543,700 | 621,600 | 710,700 | 812,600 | 14.3% |
국내 | 8,395 | 8,922 | 9,483 | 10,079 | 10,712 | 11,385 | 12,100 | 12,861 | 6.28% |
수행 사업
- ICT 융복합 및 재난안전: 대전 지역혁신클러스터 1단계(2018~2020), 1.5단계 사업 참여(2021~2022)
-
에너지 융복합 신산업: 학연 선도모델 개발 및 혁신 생태계 구축 (2017-2019)
학·연 연계 기업간의 가치사슬 형성하여 지속가능성이 높은 선순환 구조 확립
- 학연 연계 수요기반 기술 도출 및 포트폴리오 개발
- R&D 성과의 상용화 가능성 제고를 위한 투자 연계 및 글로벌 기술사업화 생태계 조성
-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및 시장 수요 발굴
- 글로벌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운영
- 기존 에너지 산업에 정보통신기술(ICT), 신소재, Smart Agriculture, Smart City 등을
접목한 에너지융합산업이 미래 시장을 선도할 것으로 예상 -
에너지 수요 관리 체제로 전환
전력자원 중심 (중앙집중발전)
수요자원 중심으로 전환 (분산발전/프로슈머 간 거래)
-
신소재 개발
에너지 하베스터 (제한적 용량)
차세대 배터리 핵심소재 (저장 능력 향상)
-
Smart Agriculture로 확대
전통적 농산물 수확 (비효율)
에너지 ICT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경작 (고효율)
-
Smart City로 확대
필요에 의한 무분별한
Network 구축 (비효율, 고비용)에너지 ICT 기술로 도시 건설 (효율적인 Connection 구성)
-
학연연계 생태계 지속가능성 측면 - 스마트 빌리지 사업 추진
- 부가가치 생산성의 극대화와 지속가능한 농촌의 선순환 체제 마련을 위한 “개발도상국 특화 스마트 빌리지 모델 기획” 및 “국내 기술사업화 영역 발굴”
- 스마트함 융복합연계기술의 적용분야를 스마트 빌리지로 확장하여 학연연계 과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학연연계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창출
-
학연연계 생태계 지속가능성 측면 - 스마트 캠프 사업 추진
- 국내 우수 연구기관 보유 기술을 활용하여 표준화된 스마트 캠프 관리 시스템을 개발/공급, UN 평화유지군에 개선된 복무환경 및 난민에 안전/관리, 질병 예방환경 제공
- 스마트 시티 융복합 연계 기술의 적용분야를 스마트 빌리지, 스마트 캠프로 확장하여 학연연계 과제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학연연계 생태계의 지속가능성을 창출
-
스마트농업
-
몽골 스마트팜 협력 과제
(2015~2016)- Korea: KAIST GCC, ETRI, Shinhan A Tec, Jeli Seed
- Mongolia: MEGO, Microcity, Ikh Tiin Group
-
한·인도 식물공장 국제공동연구
(2021~2023)- Korea: KAIST GCC, APACK Inc., Farm8, and Let’s Farm
- India: Sal Biosciences Pvt. Ltd.
-
코스타리카 스마트 그린하우스 과제
(2022~2023)- Financial Support: CABEI; Owner: INTA(National Institute for Innovation and Transfer of Agri-Technology)
- Project Execution: KAIST GCC consortium with Shinhan A Tec, Controlsoft & University of Costa Ric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