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소개
반도체 소재와 자동차 부품, 제조를 위한 제조장비 등 우리나라 산업의 중심인 제조업의 뿌리가 되는, 기술자립도가 근간인 기초산업
반도체·첨단소재 기술은 관련 산업의 부가가치 향상과 신제품 개발을 촉진시키며 산업전반에 파급돼 제조업을 혁신하는 원동력이다.
또 친환경, 스마트화, 디지털 전환 등 4차 산업혁명 주도권(경량화, 융복합화, 스마트화) 확보가 가능하며 소부장 핵심 기술력과 글로벌 공급망에서의 안정적 공급 역량 확보가 중요하다.

-
- 기계금속
- 기계 부품, 제어장치, 비철금속, 경량금속소재, 회로류 화학물 등
-
- 반도체
- 반도제 장비, 반도체 부품, 재료, 설비, 센서 등
-
- 기초화학
- 탄소소재, 나노가공소재, 기초 화학물, 기능섬유, 신섬유 등
-
- 자동차
- 모터, 파워트레인, 서스펜션, 베어링, 도료, 배터리 등
-
- 디스플레이
- 광섬유 디스플레이, Micro LED, 전장용 LED, 검사장비, 측정장비 등
-
- 전자전기
- 전자기기 부품, 변환·공급·제어 장치, 케이블, 파워모듈, 콘덴서 제어반 등
-
- 뿌리기술
- 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열처리, 표면처리
수행사업
소부장 기업의 RVC 진입 지원을 통한 글로벌 진출 실제 사례 구축(산업기술평가원)
- 국내 소부장 기업의 RVC 진입 지원 및 글로벌 3BP 사례 구축을 통한 현지 공급망 플랫폼 창출(2022 ~ )
- 소부장 기술의 해외 수요 조사 및 국내 공급 기업 매칭
- 국내 기업의 RVC 진입 전략 수립 및 주요 국가의 공급망 진입 Best Practice 성과 도출
-
미국
- 반도체 공급망 컨소시엄 구축
- 세부분야: 전공정 / 후공정
- 현지파트너: DRP Consulting
- 전략: 현지 전문가 파트너 연계
- 기술 수요: 전공정, 후공정
-
중국
- 신소재 투자유치로 시장 창출
- 세부분야: 신소재
- 현지파트너: ITIRI, CICC
- 전략: 현지 투자사를 통한 투자연계
- 기술 수요: 2차전지, 첨단소재
-
유럽
- 자동차 기술협력 프로젝트
- 세부분야: 스마트타이어, 자율주행
- 현지파트너: Technoport, Goodyear
- 전략: 엔드유저 통한 공동 R&D
- 기술 수요: 스마트타이어, 자율주행
대표 성과
성과명 | ![]() |
![]() |
![]() |
---|---|---|---|
단기 |
|
|
|
중·장기 |
|
|
|